반응형

빈곤해보이지만 멋있는 식비절약술!

인간은 아무리 돈이 없어도 밥없이는 못 삽니다. 사치만 안한다면 식비는 철저하게 절약이 가능합니다.


1.슈퍼에 가면 당일 먹어야만 하는 식품을 유통기한이 아슬아슬한 녀석들을 조낸 싸게 팔고 있습니다.  당일 먹어줍시다. *만일 배탈나거나 하면 병원비나 약값이 드는 경우가 있으니 오히려 의료비의 지출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제대로 조리해서 먹어줍시다


2.식빵가장자리(빵껍질)
빵집에 가서 물어보면 반드시 식빵가장자리 부분이 있습니다. 봉투에 가득 담은 양이 소액의 금액으로 손에 들어옵니다. *일본의 경우는 10엔입니다.


3.야채
슈퍼 야채코너에 가면 양배추의 가장 끝부분이나 무 잎사귀부분등 상품가치가 없는 부분들이 상자에 대충 담겨져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거기서 점원을 불러 [육지거북을 기르고 있는 데, 그 먹이로 주고 싶으니까 어떻게 싸게 넘겨주심 안되요?] 하고 물어봅시다. 보통 공짜로 주시거나, 거의 공짜에 가까운 돈으로 주실터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육지거북입니다. 이게 토끼라면 사람이 먹어서 만족할 정도의 야채는 먹지 않습니다만. 큰 육지거북은 대량의 야채를 먹으니까 자주 받으러 가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을 터 입니다.


야채볶음등 해먹읍시다.


4.고기는 폐점시간에 가까울 때 가심!
슈퍼의 영업시간에 따라다르지만 밤 11시폐점이라면 10시 반 정도에 가면 고기나 생선, 야채등 여러가지 상품이 반액이 되어 있습니다. 도시락같은 것도 싸게 먹을 수 있죠. 폐점시간이 아니어도 유통기한이 얼마 안남은 상품등이 있으니 잘 살펴봅시다. 반액이 되어도 비싼 물품들도 많으니 가격대비 잘 하시고요.


5.생선찌끄러기로 냄비요리
뭔말이냐 하심, 생선을 팔기 좋게 만들때 남는 찌끄러기입니다. 머리나 뼈등등.
생선코너에 가시면, 초밥용이나 사시미용으로 쓰여진 생선들의 찌끄러기를 조낸 싸게 팔고 있습니다. 냄비요리를 해먹기에는 뭐 생선이 어떻든 국물맛이 생선 맛납니다 대박 맛있어요!




아니면 저 같이 편의점 점장하세요. 폐기가 널려있는 매장.. 한달 식비 0원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저축을 한다는 것. 돈을 모은다는 것. 누구나가 부자가 되고 싶은 현대사회.
이러한 생활속에서 우리는 저축에 많은 관심이 있죠.
자, 그런데 누구나가 저축을 하고 있는 가 하면 그도 아닌듯 하더군요.
왜죠? 욕망에 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저축을 하기위해선 당연한 이야기지만 수익창출은 전제조건이 됩니다.
간단히 말하면 일해서 돈 벌어라! 입니다.
두번째로는 절약해라! 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쓰지마셈] 이죠.
세번째로 말할 것 같으면 뭐 두가지를 다하면 됩니다-_-;;

사실 저축에는 이 세가지 방법이외에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생각해보시면 저 방법이라고 써놨지만 평범한 사람이 사는 거랑 마찬가지죠.
자, 그럼 생각을 해봅시다. 남들보다 저축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해야 저축을 할 수 있을까요?

1.수익을 늘린다.(직업을 바꾼다던지,알바를 시작한다던지)
2.지출을 줄인다.(돈을 안쓰는 거죠!)
3.셋 다 한다.

제가 봤을 때 3번은 이상론입니다. 그게 그리 쉽게 되면 남들 다 저축하고 있게;;
그럼 1번과 2번중 무엇에 중점을 두며 저축을 해야하는 가.
많은 사람들은 1번에 중점을 둡니다. 예를 들자면 월급 200만원받으며 일하는 것보다 300만원 받으며 일하면 저축하는 건 당연한거 아님? 이라는 거죠.

생각은 생각을 뿐입니다.200만원 받으며 지출이 180만에 저축을 20만원하던 사람이 월급이 올라 300만원 받으며 생활하면 저축은 120만원 되리라 생각하시죠? 거의 대부분의 사람은 지출이 280만원이 되고 저축은 그대로 20만원이라고들 합니다. 저축이 늘었어도 끽해야 30만~50만정도라고들 합니다.

그렇습니다. 저축을 한다는 것은 지출을 줄이는 것이 제일 큰 효과를 얻습니다.
기본은 여기까지.


자 그럼 다음단계는?

평소 저축을 노력하는 사람들은 지출이 보이는 곳에서는 꽤나 잘 줄입니다. 외식도 안하고 친구들과 술도 거의 안마시고 담배도 안피고!!
허나...돈은 어딘가에서 새고 있습니다. 그 범인을 찾아야 합니다...
주로 방금 열거한 내용의 지출은 유동지출이라고들 말을 합니다.
매달 지출비가 틀리고 매달 지출이 있을지 없을지도 모르는 금액입니다.(담배값은 매달인가?ㄷㄷ)
지출을 줄이고 저축을 하려는 사람들은 이 유동지출을 주로 없애려고 하죠.

허나 가장 중요한 건 이 유동지출이 아니고 고정지출입니다.
매달 일정량의 지출이 발생하는 것이죠.
무엇이 있냐구요?
집세, 전기세, 가스비. 수도세, 식비.............
아무리 안쓰려고 해도 나가는 건 어쩔수 없다는 것이 현실ㅠ
살기위해선 최소한의 생활비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줄이는 방법이 최대한의 저축이라 말할 수 있겠죠!
만약 이 지출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면 수입이 늘면 바로 그건 통장으로 저축이 되는 현실!

자 그럼 저축술의 현장으로 고고~

반응형
반응형

그런거 없습니다-_-;;

그냥 포기하세요;;


...라기 보단 단 한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작권 위반을 신고하신 분께 정중히 메일을 보내 저작권 위반 경고를 철회하게 만들면 됩니다.


즉, 경고를 철회시킴으로 인해 결국 저작권 신고를 안당한 것으로 되어 계정을 복구하실 수 있습니다.

3회경고를 먹은 계정도 마찬가지라고 하더군요.


허나 문제는.....제 계정을 신고하신 분이 개독이라 보임으로 정중히 메일을 보낸다고 어떻게 될 상대도 아니고..



만약 제가 신고 크리를 먹고 날라간 수익분을 손해배상을 제기한다면 법정까지 갈 수 있음으로 상대가 철회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저작권을 확실히 가지고 있는 SBS같은 기업이면 철회해주기도 한다네요.

(이의를 제기한다 쳐도 저작권을 가지고 있으니 문제가 안된다는 이야기)


허나 자기도 저작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저작물을 대상으로 신고를 한 경우, 만약 철회를 할 경우

허의신고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고 신고당한자로 인해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경고문이 있으므로

개인이 신고하고 저작권도 없으면서 철회해 줄만한 방향은.....포기하는 게 좋다는 군요.

...

그리고 만약 말도 안통하는 외국의 기업이 신고한 경우는 아예 말조차 못해본답니다ㅠㅠㅠㅠㅠㅠ


다들 조심 또 조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사실 탈퇴하기는 정말 쉬운데, 탈퇴시키고 싶지 않은것인지 구글에선 쉽게 알려주지 않네요



밑 주소로 가서 탈퇴하시면 됩니다.


https://accounts.google.com/editservices


저도 탈퇴하는 법을 몰라서 결국 검색하게 되었네요;;


반응형
반응형


이미 한번 만들어본 경력이 있기에 이건 뭐 온라인게임에서 부캐를 키우듯이 빠르게 애드센스계정을 만들다보니 실수로 우편번호를 잘못썼답니다.


핀번호를 8월 12일에 발송했다고 뜨는 데 저번에 만들때는 일주일만에 오길래 원래 이런가 봅다 하고 기달렸더니

아무리 기달려도 안온다고 해서 찾아보다보니 엉? 우편번호를 잘못썼잖아? -_-;;

이전과 다른점이란 이사를 해서 주소가 달라졌는 데, 안타깝게도 그뿐만 아니라 우편번호도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우편번호를 적어놨더군요 ㄷㄷ


당황해서 주소편집하고 새로 핀번호를 발급받으려고 했는 데 초회발송일에서 한달이 지나야 재발송신청이 가능해진다고 하길래 한달치 수익은 못 받고 쌓이는 구나...생각하던 찰나에 이게 왠걸'


9월 2일 !

오늘 도착했답니다.

구글신님 용돈 감사히 쓰겠습니다.


배달원이 주소보고 잘 찾아오면 되는 거니 우편번호 잘못써도 주소가 확실하면 집배원이 알아서 오는 듯 싶군요 ㅋㅋ


반응형
반응형

일본에서 생활함에 있어 세금은 뗄레야 뗄수없는 당황스러운 녀석이지요.

특히 인터넷 비지니스로 얻은 수익의 경우, 일본은 몇년전부터 활성화가 되어 신고를 안할경우 지금은 높은 확률로 적발된다고 합니다.

앞으로 일본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도 세금은 꼭 내야하며, 세금을 내야만 외국인으로서 불이익을 받지않고 생활할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로 세금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먼저, 수입이 있으면 확정신고를 해야합니다. 허나 조그마한 수익의 경우는 신고를 안해도 무방.

금액은 법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1.전업으로 38만 이상

2.부업으로 20만 이상


일 경우 확정신고를 해야합니다. 그 말은 즉슨, 그 이하일 경우 확정신고를 안해도 무방합니다.

말이 조금 어렵지요. 전업이라는 것은 애드센스 이외의 수입이 없을 경우 입니다.

애드센스만을 하면 전업이 되지요.


반대로, 일반직장에 다니든지 회사의 경영자이든지 상관없이 애드센스 이외의 수입이 있다면 부업이 됩니다.

저같은 직장인의 경우는 부업이지요. (아마도 대부분이 직장인일듯...)


이 이하의 수익이라면 신고를 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말하자면 세금을 매기기도 적은 구간은 그냥 신고하지 말라는 겁니다.


이 이상이 되시는 분은 무조건 신고를 해야합니다...네 전 올해부터 신고를 해야하는 군요ㅠ



세율은 5%~40%



소득에 따른 세금은 소득세라고 합니다. 소득세는 많이 번 넘이 많이 내라는 취지입니다.



課税される所得金額 税率 速算控除額
195万円以下 5% 0円
195万円を超え 330万円以下 10% 97,500円
330万円を超え 695万円以下 20% 427,500円
695万円を超え 900万円以下 23% 636,000円
900万円を超え 1,800万円以下 33% 1,536,000円
1,800万円超 40% 2,796,000円



자신의 모든 수입이 (직장인 월급 + 애드센스 수입) 195만 이하라면 세율은 5퍼센트입니다.

예를 들자면 180만 벌었다면 9만이 세금. 공제액은 없으므로 9만엔을 납부하셔야합니다.

(실제로는 회사에선 원천징수되는 금액이 있기에 실제납부하시는 금액은 당연 그 차액만 납부하시면 됩니다)


만약 확정신고금액이 300만이라면 10%인 30만이지만 공제액이 9만7500엔이 있으므로


300,000 - 97,500 = 20만2500엔을 납부하시면 됩니다.




신고를 하지 않았을 경우



理由 ペナルティ
期限に遅れた 無申告加算税 15%(納税額のうち50万円を超える部分は20%)(調査前に自己申告すると5%)
申告したけど税金を納めなかった 延滞税14.6%
期限内に申告して収めた税金が少なかった 過少申告加算税10%
悪意で意図的に正しく申告をしなかった 重加算税35%(無申告の場合40%)



※延滞税は収める期限の翌日から2ヶ月までは「納税額の7.3%」と「前年の11月30日の公定歩合プラス4%」のうち低い方を適用し、2ヶ月を超えたら納税額の14.6%になる



대략 가산세가 10퍼~40퍼까지 있으니 주의하시면 됩니다.

가장 무서운 녀석이 중가산세금입니다. 탈세를 목적으로 악의적으로 신고를 안할경우 40%까지 날라가니 수익의 대부분을 세금으로 날려야합니다.



확정신고를 위한 3가지 준비



1.사업용 통장을 만들것

2.사업용 신용카드를 만들것

3.영수증을 보관할 것.



청색신고


신고용지가 파란색이라는 점에서 青色申告라고 불립니다.

수입에서 경비를 뺀 소득에서, 추가로 65만엔을 공제해줍니다.

가족에게 지급한 급여을 전액 공제할수 있습니다.

*백색 신고서(일반신고)는 배우자 85만, 생활비를 같이 하고 있는 가족 1명당 50만엔의 제한이 있음

단, 青色専従者給与に関する届出書를 제출해야합니다.



アオジュー申告をするには

  • 青色申告の届出等必要書類を提出します
  • 簡易帳簿を作成します
  • 白色申告の時に「収支内訳書」に記載していた数字を、そのまま「青色申告決算書」という書類に記入します
  • 申告書の「青色申告特別控除」の欄に10万円の金額を記入します



확정신고의 스케쥴


今年

1月 領収書をためはじめる
3月 青色申告の場合、開業届&青色申告承認申請書提出(3/15まで) or 開業から2ヶ月以内に税務署に提出
12月 この期間の所得が対象

来年

1月 還付 申告の場合 1/1から受付開始(早く提出すると還付金が戻る)
2月 納付 2/16から3/15受付 (3/16以降も受付はする)
3月 3/15 青65申告は3/15までに提出しないと、青10申告にダウン
4月 還付金が振り込まれる(申告日から30日~60日後)(税務署によってまちまち)
5月 申告した所得をもとに「住民税」「国保税」が決まる
6月
8月 「個人事業税」の納入通知書が送付される(8月と11月の2回に分けて納付)

加えて、税務調査に備えて7年間保存(領収書、帳簿)しておきましょう。

確定申告に必要な書類は確定申告書B、青色申告決算書(収支内訳書)です。


반응형
반응형



ㅠㅠ

2011년도 보다 줄었습니다.


지급금액 2,778,445엔
급여소득공제후의 금액 1,763,200엔
급여소득공제액의 합계액 1,178,255엔
원천징수제액 29,200엔
사회보험료등의 금액 418,255엔

환원 17,550엔


반응형
반응형



지급금액 2,835,700엔
급여소득공제후의 금액 1,802,400엔
급여소득공제액의 합계액 657,813엔
원천징수제액 57,200엔
사회보험료등의 금액 277,813엔

환원 8,770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