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의 아주 좋은 시스템, 고향납세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후루사토납세라고 하는 데요...



이것이 아주 획기적입니다.



일본정부는 고향(후루사토) 납세에 의한 도시-지방 간 세수 격차 해소를 통해 대도시 집중과 인구 감소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기부금제도를 이용한 납세제도입니다.

한국에서도 기부를 하면 그만큼 세금공제를 해주잖아요? 그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원래이름은 고향기부금제도인데, 이것을 편의상 고향납세제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제 고향이 대전이라 (그래도 나름 대도시) 대전을 예로 들자면,


대전에서 세금을 걷어봤다 그 금액은 서울에 비교할 바가 아니지요.


단적인 예로 서울과 대전의 인구수는 하늘과 땅이라고 해도 될 정도..(좀 심한 표현?)


그러니 당연하지만, 서울에서 걷히는 세금과 대전에서 걷히는 세금도 하늘과 땅 차이지요.

세금이 잘 걷혀서 쓸수있는 금액이 많은 서울은 더더욱 좋은 도시가 되고, 지방도시는 세금이 부족해 더더욱 발전이 없는 도시가 되지요.



정부는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서울에 살면서 대전에 기부금을 내는 방식을 체택했습니다.

그리고 서울에서 기부금 공제를 받는 것이지요.

이것이 뭐가 좋은가?

자치시에서는 세금이 걷혀서 좋음.

그 세금으로 지방도시를 발전시킵니다.


정부는 서울에 집중되어 있던 세금을 지방도시에 분산시켜서 좋습니다.


그리고 이 제도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지방도시에서 감사의 표현으로 주는 물건을 공짜로(?) 받습니다.

감사의 표현으로는 해당 지방의 특산물이 있습니다.

고로, 지방도시는 세금이 걷힘 + 특산물이 팔림(지자치에서 걷힌 세금으로 사줌)으로 일석이조...


이용자는 지방도시에 세금을 냄

-> 서울에서는 같은 금액의 기부금 공제를 받음!

그런데 덤으로 지방특산물을 공짜로 얻음.



요런 시스템!!!


누이좋고 매부좋고!


사실 작년부터 알고는 있었지만, 손을 뻗기는 조금 힘들정도로 복잡해보인다는 게 주 원인으로 안하고 있었지만...

요즘 tv에서 계속 선전을 해대는 것을 보니 역시 조금 복잡해도 해볼만 하겠다 싶어서...

고로, 올해부터 한번 도전해볼랍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시스템은 저렇게 설명해놨지만, 실질적으로는 2000엔은 무조건 드는 경비라서, 이용자는 2000엔에 해당특산물을 받을 수 있는 느낌입니다.

왜냐하면 2000엔을 넘는 부분에 대해서 일정금액까지만 공제가 되니, 2000엔은 공제가 되지 않습니다...ㅠㅠ

2000엔을 제외한 전 금액이 주민세와 소득세에서 공제됩니다.


조금 귀찮은 점은, 이 공제를 받을려면 확정신고를 해야합니다.

어디까지나, 기부금임으로...하지 않으면 공제받지 못합니다.




그럼 세금을 돌려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확정신고를 하면...


1.소득세의 캐쉬백!


기부금에서 2000엔을 뺀 금액이 [소득세의 소득공제]에 계상됩니다.

소득공제는 10%의 금액만이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금액이 1만2천엔이라고 가정한다면,

(12000-2000) *10퍼 = 800엔이 환원됩니다.

확정신고를 하고 1개월쯤 뒤에 세무서에서 자신의 계좌로 직접 쏴줍니다.


2.주민세의 캐쉬백!

기부금 12000엔으로 가정하고, 2000엔을 뺀 금액의 90퍼센트가 [주민세의 세액공제]에 계상됩니다.

세액공제는 그 금액 전부의 세금이 공제됨으로,

(12000-2000) * 90퍼 = 9000엔이 환원됩니다.

정확하게는 환원금액분만큼 다음년도의 주민세가 감액됩니다.

바로 받지는 못하는 금액임..


결국, 소득세와 주민세의 캐쉬백은 800+9000=9800엔입니다.

12000엔지불했지만 9800엔은 공제받으니, 실질적으로는 2200엔으로 특산품을 받은 것이 됩니다.

그럼 특산품이 2200엔이상 값어치를 하는 것이라면 이쪽이 이득이겠지요??



세금은 가족구성원에 따라 다르고, 자신의 연수입에 대해서도 다릅니다.

즉, 이득이 되는 구간도 다릅니다.


밑의 표를 보고 자신이 제일 이득이 되는 구간을 찾아보고 그에 걸맞는 금액을 납세하시면 됩니다.


*부부는 외벌이이거나, 어느한쪽이 연수입 100만엔이하로 배우자공제를 받을 경우

맞벌이는 배우자 연수입이 141만엔 이상일 경우

고교생은 16세~18세 대학생은 19세~22세로 각각 부양공제를 받고 있을 경우

중학생이하는 공제대상이 아님으로, 계산하지 않음





저는 부부에 아이 한명이 있지만, 아이는 아직 1살이라 부부로 찾아보면되는 군요.

연수입은 대략 300만엔이니 12000엔이 딱 적당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럼 12000엔짜리를 찾아보러 떠나야겠군요.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금은 구글광고가 날라가서 더이상 할맘이 없었지만, 제작년에는 엄청나게 절 벌어먹여살려준 블로그가 아키짱과 삥짱의 티스토리였네요..


그리고 가끔 들어가서 그대로 이쪽 블로그로 옮기는 작업도 하고 있었는 데..


오늘 급작스럽게 확인을 해보니 역삼동 한채영이라는 글이 블라인드 처리가 되어있더군요...


응??


야한것도 없는 데 왜??

물론 글에는 잘 찾아보면 세미누드정도는 찾을 수 있을꺼란 말은 써놨지만, 겨우 그걸로 싶어서 기본적으로 전혀 쓰지도 않던 중학교때 드림위즈 지니로 이름을 날리던 사이트에 접속해서 메일을 확인해보니 초상권침해로 권리침해신고가 들어왔었더군요...



호오...요즘 뭔가 있나보네요?

글은 2년전 글로 신경도 안쓰고 있었는 데, 이제와서 신고가 들어오다니..?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

알뜰폰으로 이런게 나왔군요


심프리단말을 가지고 있고, 새로 스마트폰을 살게 아니면 전화나 문자를 쓰지않고 오직 데이터통신만을 사용할시 정말 660엔입니다.

세금더하면 약 700엔나오겠네요


요즘엔 라인아니 카톡을 많이 쓰니 그것만 쓴다면 정말 이득일겁니다.


기본 데이터가 1기가밖에 없으니...

만약 더 쓰면 돈 더나가고요.


게임이나 유튭같은 걸 볼려면 와이파이존이 아니면 이용하기 힘들듯 싶네요


전 집에서 와이파이존을 구축해놔서 그런지 한달 펑펑 쓰고 있는 데도 2기가를 살짝 넘기는 군요...


그걸 생각하면 집 밖에서 하는 게임 좀 줄이면 1기가 될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듭니다만ㅡㅡ;;




만약 단말기를 새로 산다면 그 할부금은 내야하니, 사실 지금 쓰는 스마트폰비보다 그렇게 싸지지는 않겠네요

오히려 유명통신사에서는 (호갱을 만든다는) 실질0엔으로 할인해주는 게 있는 데 비해 DMM은 없으니 이득이라고 보기 힘들...

응? 쓰다보니 왠지 한국의 단통법이 생각나는 데? 그거 일본판으로 적용해서 나온거 아냐????


ㅡ.ㅡ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저임금이 올해 5580원
하루 8시간 일하면 일당 4만 4640원
주 5일 일하면 주급 22만 3200원
4주 일하면 월급 89만 2800원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노동을 했을 경우, 약 90만원의 급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2015년 최저생계비 기준
1인가구 월  61만 7281원
2인가구 월 105만 1048원
3인가구 월 135만 9688원
4인가구 월 166만 8329원
...

차상위 계층 기준이 최저생계비의 120% 이하니까
1인가구 월  74만  737원 이하
2인가구 월 126만 1257원 이하
3인가구 월 163만 1625원 이하
4인가구 월 200만 1994원 이하
...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이 작년 기준 2만6천 달러





혼자버는 걸로 1인가구라 생각할시 최저생계비는 넘기고 있긴 합니다만..



최저임금 = 최고임금의 공식이 성립되고 있는 지금, 법적으로 일을 하면 간신히 최저생계비를 버는 느낌입니다.

대체 일을 왜 하는 지 궁금해질 정도입니다.




여기에 만약 결혼을 해서 아기가 생기면 3인가구에 외벌이가 되는 기간이 있는 데...

할말이 없어집니다.

그래서 삼포세대라 불리는 듯?

만약 연로하신 부모님이 계시면....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격이 기본 두배 정도 올라감....



이전에 제가 쓴 매장입장의 글을 한번 보시죠 ㅋㅋ




담배값 인상에 관한 매장입장에서의 고찰



일본의 사례입니다.

한국은 현재 담배값인상에 왈가왈부하고 있는 데요.


개인적으로 전 찬성-_-입니다만.


일본의 경우 제작년에 담배값상승이 있었죠.


10월 1일부터 담배값이 한 갑에 약 100엔~140엔올랐죠.

(한화 1300원~1800원)

...네...대박 오른 겁니다.


저같은 경우 편의점을 운영중이라 24시간운영이라 애매한게 있었는 데요.

아시다시피 흡연자에겐 정말 엄청난 크리티컬 공격....인 관계로 9월달에 담배판매량이 급증합니다.

특히 9월 마지막 날....상상을 초월하는 금액의 매상을 전 기억하고 있습니다.

(물론 담배매상인 관계로 이익은 거의 없습니다-_-)


그리고 10월들어서 담배판매량은 0에 가까운 실적-_-+


덕택에 담배사러와서 커피한잔 덤으로 사주던 감사한 고갱님들도 날라가서 매상과 이익 모두가 정말 땅으로 꺼졌음ㅠㅠ


허나 호갱님들의 대량구매한 담배가 없어진 시점에서 다시 매상이 부활했는 데요..

(약 6개월 후)

이게....얼래? 담배피는 넘들 다시 다 돌아왔나? 매상이 갑자기 증가합니다.

왜냐? 담배피는 넘들은 그대로인데 담배값만 올랐으니 당연히 매상이 증가하죠!^^;;

게다가 이번에 세금의 상승뿐만 아니라 이익율도 증가했습니다.

*세금상승과 더불어 가게가 먹는 이익도 증가

더이상 담배는 아무리 팔아도 돈이 안 남는 물품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호갱님들 덕택에 정말 감사했습니다-_-;;


담배값오른다고 흡연자가 금연할 꺼 같습니까? 안합니다-_-

극히 일부인 소수입니다.


직업상 거의 매주 일본담배협회직원분이랑 이야기를 나누는 데요.

지금도 담배협회직원분이 이럽니다.

[....담배값이 한 2배로 뛰었으면 좋겠음ㅋㅋㅋㅋ]

네...저쪽은 담배값올라서 우리보다 더 정말 횡재했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에디온 매장에 갔더니 대략 9만엔에 가까운 가격을 선보이며 할인해서 8만5천엔에 해준다는 걸 거절하고 집에 와서

(거의) 인터넷 최저가로 6만 6천엔에 산 이야기..


도착했습니다.





오호라...생각보다 크네?






그러나 안에 박스가 들어있다는 게 참....뭐하러 이렇게 보낸 거냐 ㄷㄷ







열어보면 !


쌔...쌔근한데?





그리고 거의 맞추기라도 했다는 듯이 딱 맞는 사이즈...!!


이제 보고 싶은 방송을 녹화해서 볼수있다!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블루레이 레코더 구입기라고 쓰기에는 전혀 구입기가 아니고 잡담만 늘어놓은 이야기 ㅋ



현재 인기 1위를 달리고 있는 파라소닉의 DMR-BRZ2000입니다.



용량 2테라



무엇보다도 좋은 점은, 녹화한 방송을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나름 좋은 기능 + 높은 저장 용량에 이 가격이라는 것에 끌려서 바로 구입!!



인터넷에서 확인하고 주변 전자제품 판매처 -에디온-에 가서 구입을 하려고 했지만 가격은 8만5천

게다가 재고도 없어서 2~3일정도 걸린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럼 그냥 인터넷에서 구입하지..하고 돌아와서

최저가로 검색해서 보니 6만5천엔 수준...

그러나 품절로 인해 2번째로 싼 곳에서 66,800엔에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2~3년 전부터 아내님이 이걸 가지고 싶어했습니다만 ㅋㅋ

대략..

TV방송을 녹화해서 보고 싶다고 성화를 부렸고, 저는 그래서 컴퓨터와 TV를 연결하여 인터넷으로 보는 방향으로 아내님을 달래주었습니다.


물론 FC2동영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습니다만...안타깝게도 올해 일본에서 FC2동영상을 위법 업로드한 헤비업로더들이 경찰에 잡혀들어가는 생겼습니다.

부정행위로 인해 금전 취득을 했다는 것이 죄명으로....저작권 분쟁입니다.

(한국분들은 대부분 일본이 저작권 잘 지킨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어둠의 루트는 결국 어느나라나 다 똑같이... 지키지 않습니다)


덕분에 지금 야시시한 것은 잘 남아있지만, TV방송쪽이 완전히 죽었더군요.


그래서 제가 일본방송을 찾아봐도...

한국쪽의 업로드는 기본적으로 조금 늦는 바람에 바로 보고 싶다는 아내님을 진정시키기란 어렵고..



결국 그렇게 지르게되었습니다!!




이번년도는 무슨 돈을 얼마를 쓴건지...ㅡ.ㅡ



사실 이번 블루레이 레코더는 꼭 없어도 되지만 있으면 좋은 물품이라 사는  것을 많이 주저했습니다만.

한국에 계신 어머니가 스마트폰으로 바꾸게 되어 카카오톡의 무료전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어머니께서 주신 감사한 말 한마디가 계기로 구입을 결정하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어머니! 언젠가 보답을!!

-_-
사랑합니다!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


오옷....이런것이 있다니

ㅋㅋㅋㅋ


했었습니다.



콩은 기본적으로 공짜로 얻을 수 있기에....

나름 기부한다고 콩 22개를 모아 2200원을 올해 기부했었는 데...


뭐, 저야 한국에서 수입이 없으니 소득공제를 받지는 못하지만 ㅋ

이런 게 있구나 하는 정도로 생각하고, 한국은 참 좋은 나라라는 것을 다시금 느끼며!!!



자세히 보니 조금은 안타까운 점이..




Q. 소득공제 가능한 충전콩은 어떤 건가요?
A. 핸드폰,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한 ‘충전콩’에 한하여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공짜로 받은 콩은 기부해봤자 소득공제가 되진 않는 다는 말입니다

자신이 직접 돈을 써서 기분한 콩만 소득공제가 된다는 군요 ㅠㅠ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