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은 저는 5년전에 패밀리마트 점장연수를 다녀왔습니다.


점장연수를 받아야만 패밀리마트에서 인정하는 점장직을 할 수 있지요.

계약을 할 때 애매한 부분이지만, 실은 점장연수를 안 받아도 실제 업무내용을 알고 있다면 점장직을 하는 것은 문제가 안되는 데, 패밀리마트에서 인정하는 점장인지, 아니면 인정하지 않는 점장인지에 따라 대우가 달라집니다.


그리고 저는 패밀리마트에서 인정받는 점장이 되기 위해서 우리 회사측에서 연수비용 약 20만엔을 투자하여 주셔서 감사하게도 다녀온 케이스지요.



그런데 이것이 5년이 지난 왜 이제와서 지급이 되었는 가 하면 그당시 참 애매했던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일단 패밀리마트의 점장연수를 알고 들어가야하는 데, 패밀리마트는 연수를 받는 모든이들에게 동경에 있는 쇼난까지의 교통비를 지급해 줍니다. 오사카에서 동경까지의 신칸센비용은 (기차) 티켓으로 주고, 그 뒤의 동경에서 쇼난까지의 전철비와 버스비, 택시비등이 현찰로 개인의 통장에 입금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문제가 된 부분은 이게 정상적으로 연수를 다녀온 사람들의 경우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이전에 있던 점장이 회사돈을 훔쳐서 해고가 되는 사건이 있어서 갑작스럽게 점장이 되어야만 하는 입장이었습니다.

덕분에 원래 정기적으로 모집하는 점장연수를 간것이 아니라 다른회사가 간다고 했었다가 취소를 한 곳에 가야하는 입장이 되었지요.


즉,교통비가 일단 티켓으로 나오는 신칸센비용 (기차)을 받지 못하는 케이스입니다.

이후에도 쇼난에서 교통비 청구를 할때, 저는 특별 케이스라 패밀리마트 본사에서 우리 회사쪽으로 교통비가 지급되니 그쪽에서 받으라는 식이었습니다.


그리고 점장연수를 다녀와서 정말 급하게 니시키노하마라는 점포의 점장으로 발령이 나고, 갑자기 점장이 되었습니다.

처음에 점장이 되었을때는 정말 불안한 부분들도 많고 새로 배워야 할것도 많고 그래서 결국 제 머릿속에서 이 교통비에 대한 것이 머릿속에서 지워졌습니다.


그렇게 5년의 세월이 지나고...

귀화서류를 찾아보다가 언뜻 이부분이 생각나서 궁금해졌습니다.

통장이력을 아무리 잘 찾아봐도 입금되었어야 할 금액이 입금된 흔적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5년이란 시간이 지나서 청구를 하기에는, 시일이 너무나 지나서 시효가 지났으니 실제로는 청구를 해도 받지 못하는 금액이라고 하더군요.


포기를 해야하나...싶었고, 점장들끼리 가진 술자리에서 저는 점장연수까지의 교통비를 내 돈내고 갔다왔다는 이야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제가 매니져였을때 점장을 하던 히시사키란 분이 [그것을 까먹은 내탓이오]하면서 사장에게 가서 받아왔다는 이야기.


요즘은 인원이 없다보니 노동자측의 힘이 쎄져서 이렇게 받아오는 게 가능했습니다!


원래 사용자측이 배쌔라고 하면 못받는 돈이지만, 이렇게 받을 수 있었네요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본급 162,200엔

점장직무 80,800엔 (점장수당)

통근비과세 7,500엔 (교통비)


과세계 243,000엔

비과세계 7,500엔

총지급액 250,500엔



공제

건강보험 13,052엔

후생연금 23,176엔

고용보험 1,252엔


사회보험계 37,480엔

과세 대상액 205,520엔

원천소득세 3,360엔

주민세 6,200엔


연말조정 -11,840엔


공제계 -2,280엔

공제 합계 35,200엔



세금 부양인수 1명


은행송금 215,300엔

세후지급액 215,300엔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급금액 3,050,421엔


급여소득공제후의 금액 1,953,600엔
급여소득공제액의 합계액 1,312,793엔
원천징수제액 32,600엔
사회보험료등의 금액 413,173엔

생명보험의 공제액 80,000엔

지진보험의 공제액 1,620엔

-간호의료보험료 금액 136,917엔

-신생명보험료 금액 350,830엔


환원 11,840엔




올해는 보너스 지급이 잘 이루어 지지 않아서 그런지

연수입이 늘지 않았다...


내년은 육아휴직으로 연수입이 확 줄고, 내후년부터 늘려나!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온 2016년도의 세뱃돈입니다.


작년에도 경기가 나쁘다고 2만엔 주시더니, 올해도 경기가 나쁘다고 2만엔을 주셨네요.


이대로 가면 점점 우리회사 인원이 줄어들것같은 기분이 듭니다.



급료가 적어서 떨어져 나가는 사람이 많아질것같네요.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본급 162,200엔

점장직무 80,800엔 (점장수당)

통근비과세 7,500엔 (교통비)


과세계 243,000엔

비과세계 7,500엔

총지급액 250,500엔



공제

건강보험 13,052엔

후생연금 23,176엔

고용보험 1,252엔


사회보험계 37,480엔

과세 대상액 205,520엔

원천소득세 3,360엔

주민세 6,200엔


공제계 9,560엔

공제 합계 47,040엔



세금 부양인수 1명


은행송금 203,460엔

세후지급액 203,460엔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본급 162,200엔

점장직무 80,800엔 (점장수당)

통근비과세 7,500엔 (교통비)


과세계 243,000엔

비과세계 7,500엔

총지급액 250,500엔



공제

건강보험 13,052엔

후생연금 23,176엔

고용보험 1,252엔


사회보험계 37,480엔

과세 대상액 205,520엔

원천소득세 3,360엔

주민세 6,200엔


공제계 9,560엔

공제 합계 47,040엔



세금 부양인수 1명


은행송금 203,460엔

세후지급액 203,460엔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본급 162,200엔

점장직무 80,800엔 (점장수당)

통근비과세 7,500엔 (교통비)


과세계 243,000엔

비과세계 7,500엔

총지급액 250,500엔



공제

건강보험 13,052엔

후생연금 23,176엔

고용보험 1,252엔


사회보험계 37,480엔

과세 대상액 205,520엔

원천소득세 3,360엔

주민세 6,200엔


공제계 9,560엔

공제 합계 47,040엔



세금 부양인수 1명


은행송금 203,460엔

세후지급액 203,460엔






공제에 건강보험과 후생연금이 쥐꼬리만큼 내려갔네요...




급료대신 쉬는 날을 늘리기로 협의했었는 데, 한달만에 그 이야기조차 없어진 것은 왜일지...-_-;;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본급 162,200엔

점장직무 80,800엔 (점장수당)

통근비과세 7,500엔 (교통비)


과세계 243,000엔

비과세계 7,500엔

총지급액 250,500엔



공제

건강보험 14,056엔

후생연금 24,464엔

고용보험 1,252엔


사회보험계 39,772엔

과세 대상액 203,228엔

원천소득세 3,290엔

주민세 6,200엔


공제계 9,490엔

공제 합계 49,262엔



세금 부양인수 1명


은행송금 201,238엔

세후지급액 201,238엔






보너스달이긴 했는 데, 여차저차 못받게 되었다는 슬픈 전설.



이번달부터 급료대신 쉬는 날을 늘리기로 합의를 보긴 했는 데, 얼마나 제대로 쉬며 유급휴가를 제대로 쓸수 있을까 걱정이 되긴 합니다.


사실 지금의 저로써는 급료 2만엔 더 받는 것보다 쉬는 날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되긴 합니다만...










포스팅이 도움 되셨나요? 댓글과 공감은 힘이 됩니다!

블로그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요 밑에 공감 하트 좀 날려주세요^^;;

한번만 눌려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